스프링부트

스프링부트 1일차

이영재의오른발 2022. 3. 28. 21:51
반응형

사나이 이영재 스프링부트 1일차

2일차가 안올라올시 스스로 엄벌을 주겠다

 

스프링부트 환경설정에 대해 학습했다.

java 11과 intellij를 다운받은뒤

start.spring.io에 접속해서

그림과 같이 설정을 해주었다.

전에는 maven project를 사용했지만 요 근래에는 gradle을 많이 사용하는 추세라고 한다

오른쪽의 thymeleaf는 html기본 템플릿을 제공해주는 엔진이다

intellij->open folder->.gradle을 통해서 위와같은 환경을 만들어준다.

오른쪽에 src->test가 있는데 요즘 개발 트렌드에서는 test 코드가 중요하다는 사실만 대충 알아두면 된다.

 

build.gradle도 중요한데 이는 버전 설정을 해주며 라이브러리를 땡겨와준다
start.spring.io에서 설정파일을 제공해준것이다

 

src->build.gradle을 누르면 여러 코드가 나오는데 이중에서

dependencies {
implementation 'org.springframework.boot:spring-boot-starter-thymeleaf' // spring boot html 만드는 템플릿 엔진
implementation 'org.springframework.boot:spring-boot-starter-web' // spring boot 웹 프로젝트 선택
testImplementation 'org.springframework.boot:spring-boot-starter-test'
}

 

repositories {
mavenCentral()  // 라이브러리를 다운받는곳이 필요한데 이때 mavenCentral 에서 받는다
}

이와같다

 

위 사진에서
@SpringBootApplication이 있는데 이는 안에 tomcat  web 서버를 내장하고 있어서 tomcat web서버를 자체적으로 띄우면서 스프링부트가 같이 올라온다

해서 실행을 한뒤 localhost로 접속하면 접속이 되고

중단한뒤 접속하면 접속이 되지않는다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