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반응형
환경설정을 마치고나니 모르는 언어가 많아졌다
SQL, JPA 처음듣는 생소한 단어가 남발한다.
모르는 부분들을 막 넘기지말고 천천히 알아가면서 공부하자
오늘 배운 내용은 정적 컨텐츠와 MVC,API에 대해서 간단하게 배웠다.
간단하게 설명하면 정적 컨텐츠는 유저들의 정보를 저장해 맞춤형 컨텐츠 제공이 안되고 MVC나 API는 가능하다
정적 컨텐츠는 파일을 그대로 내려주어서 모든 유저들이 같은 패턴의 행동만 할수 있다.
mvc는 동적 컨텐츠의 일종으로 정보를 저장한 후 맞춤 컨텐츠 제공이 가능하다 viewResolver를 통해 랜더링된 html을 고객에게 전달해준다.
api는 정적 컨텐츠와 동적 컨텐츠를 합친것으로 HttpMessageConverter를 통해서 객체를 반환한다
@ResponseBody 에 대해서도 학습했다
http (html 아님) 에도 head부와 body부가 있는데 @ResponseBody 는 이 body부에 직접 값을 넣어준다.
이 때 return 값으로 객체가 오면 viewResolver 대신에 HttpMessageConverter가 동작해서 기본 디폴트 값을 JSON 방식으로 데이터를 만들어서 http응답에 반환하는게 기본 정책이다
여기서 JSON이 무엇인지 몰라서 찾아봤다
JSON이란
JavaScript Object Notation라는 의미의 축약어로 데이터를 저장하거나 전송할 때 많이 사용되는 경량의 DATA 교환 형식이다. 웹 어플리케이션에서 데이터를 전송할 때 일반적으로 사용한다.
JSON 과 대조되는 것으로는 XML이 있는데 예전 실무에서는 XML을 사용하다 현재는 JSON이 데이터 전송속도가 더 빨라 JSON으로 굳혀졌다고 한다
그러니까 @ResponseBody에서 return 값으로 객체가 오면 HttpMessageConverter 가 JSON방식으로 데이터를 만들어 응답에 반환한다고 알아두면 되겠다
728x90반응형'스프링부트' 카테고리의 다른 글
롬복을 이용한 리팩토링 (2) 2022.07.25 JPA를 이용한 데이터 조회 (3) 2022.05.03 스프링 부트 ) JPA를 이용한 데이터 저장 (0) 2022.05.03 스프링부트 3일차 (0) 2022.04.06 스프링부트 1일차 (1) 2022.03.2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