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BOUT ME

-

Today
-
Yesterday
-
Total
-
  • 서블릿 JSP MVC 차이점
    서버 2022. 4. 7. 13:42
    반응형

    서블릿과 JSP는 모두 웹 페이지를 동적으로 실행시킨다는 공통점이 있다.

    서블릿 같은 경우 자바 코드안에 HTML 코드를 일일이 기입해준다. 이렇게 되면 코드를 작성하기 번거롭고 유지보수가 매우 힘들어 진다.

     

    이를 보완하려고 나온 기술이 JSP이다. 

    JSP는 자바 코드안에 HTML 코드를 작성하는 것이 아니라 HTML코드 안에 '<% ~ %>' 문법을 이용하여 자바 코드를 껴넣는 방식으로 동적 웹페이지를 제공한다. 이렇게 되면 개발자가 일일이 HTML 코드를 작성하는 서블릿 보다는 유지보수가 편하다. 하지만 아직 JAVA코드, 리포지토리 등등 다양한 코드가 JSP안에 노출되어서 쉽지는 않을것이다.

     

    서블릿과 JSP는 모두 클라이언트에게 제공되는 뷰와 서버에서 처리하는 비즈니스 로직을 모두 한 곳에서 처리한다는 단점이 있다.

     

    서블릿 코드는 HTML 코드를 넣는 부분이 불편하고 JSP코드는 데이터 처리, DB통신, 비즈니스 호출이 불편하다 

    하지만 서블릿 코드는 데이터 처리, DB통신 , 비즈니스 로직 호출은 편리하고 JSP는 HTML 코드안에 JAVA코드를 껴넣기 때문에 HTML코드를 넣는것이 편리하다

     

    해서 두가지의 장점을 합친 MVC 패턴이 나오게 됐다.

    MVC패턴이란 MODEL, VIEW, CONTROLLER의 약자로 하나의 서블릿이나 JSP로 처리하던것을 세가지로 역할을 나눈 것이다.

     

    컨트롤러는 HTTP 요청을 받아 피라미터를 검증하고 비즈니스 로직을 실행한다. 그리고 뷰에 전달할 결과 데이터를 조회해 모델에 담는다.

     

    모델은 뷰에 출력할 데이터를 담는다.

     

    뷰는 모델에 담겨있는 데이터를 사용해 화면에 그리는 일을하는, 즉 HTML을 생성한다고 보면 된다.

     

    위의 그림을 참고하면 이해가 쉽다.

    728x90
    반응형

    '서버' 카테고리의 다른 글

    동기, 비동기 처리방식  (0) 2023.04.04

    댓글

Designed by Tistory.